새만금해루질 ,개요,방법,문제점 ,주의사항,장비등 ,등....

2023. 8. 22. 14:51대한민국 축제 에 관한 여행 가이드

반응형

해루질에 대한  방법 ,문제점, 주의사항 ,필요한 장비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꽃게 해루질을 하는 게절이 돌아 왔습니다, 해루질 도 좋지만  미리 준비물과 계절별 로 어떤종류에  해루질을 하는게 좋은지 알아보고 가는것도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1: 해루질이란 ?

밤에   얕은 바다에서  맨손으로  잡는  어패류  잡는 일  입니다,

2: 해루질 하는 방법  : 일단 대부분의 어패류는  야행성 이기 때문에  밥에 잡는 것이  유리합니다,  물때표를  참고 하시고  간조 한시간 전에  같이 따라 들어가면서  잡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

밤에 해루질을 할때에는 랜턴과  채집통을  준비해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조개류를  잡을 때는  호미나 갈고리도 필요 합니다 .

3: 주의 할점   :해루질도 어업 행위이다 보니 수산자원관리법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해루질에 사용 가능한 장비는 투망, 족대, 반두, 수망, 가리, 외통발, 집게, 갈고리, 호미, 맨손만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며, 어업권이 설정되지 않은 공유수면상에서만 실시해야 한다

. 또한 양식장 등 외부인이 어업을 해서는 안 되는 수역인 경우 해당 지역의 어업권자와 사전협의 및 동의를 받지 않고 채취하면 안 된다.

우리나라의 해양 관련 정보 및 양식장에 관한 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업로드하는 사이트를 참조할 것.  다만 단순히 마을어장 등으로 지정된 구역인 경우 해당 마을에서 직접 종패 등을 뿌려 키우고 있는 어패류가 아닌 자연적인 해산물인 경우 비어업인이 채취해도 된다는 판례가 있으니 참고할 것

 또한 채취대상 어패류의 금지체장, 금어기 등도 준수하여야 하니 주의할 것. 예전에는 금지체장 및 금어기 조항은 어업인에 대해서만 적용을 받았으나, 낚시 인구와 해루질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2020년 9월부터 비어업인의 수산자원 불법채취에 대한 조항을 신설하였다. 

4: 안전사고  :언론에도 심심찮게 보도가 될 정도로 매년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갯벌에서 물이 아무리 얕게 찼다고는 하지만 야밤에 빛도 하나 없는곳에서 랜턴빛에만 의존한 채 조개를 캔다는것은 위험이 따를수밖에 없는 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착용과 간조 및 만조시간을 숙지하고 알림까지 설정해두는것이 제일이지만 아무래도 얕은 물에서 작업한다는 인식탓에 조끼를 착용하고 나가는 사람은 많이 없는 편이다.

8월20일 부터 꽃게 금어기가 종료 되어  태안 이나 서천 부안등  해루질을  하러 가려고 준비 하는 도중에  참고 하면 좋을것 같아서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래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