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6. 15:16ㆍ돈이 보이는 정보공유
사업자가 내야 할 세금 중 하나인 '부가가치세(부가세)'는 간접세이고 소비세인 동시에 물세이기도 합니다.
납부기간에 맞춰서 국가에 내야하는 세금인 부가세 신고기간과 납세의무자, 부가세 계산방법 및 신고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는 개인사업자는 1년에 2회, 법인사업자는 4회 부가세 신고를 하게 됩니다. 개인 사업자는 예정신고 없이 예정 고지를 통해 납부만 가능하며, 연간 신고횟수는 2번이지만 납부는 4번을 하게 됩니다.
확정신고
4월 1일 ~ 6월 30일 간의 소득을
7월 1일 ~ 7월 25일에 신고합니다.
개인/일반 사업자
1월 1일 ~ 6월 30일 간의 소득을
7월 1일 ~ 7월 25일에 신고합니다.
법인사업자
10월 1일 ~ 12월 31일 간의 소득을
내년 1월 1일 ~ 1월 25일에 신고합니다.
개인/일반 사업자
7월 1일 ~ 12월 31일 간의 소득을
내년 1월 1일 ~ 1월 25일에 신고합니다.
간이과세자는 1.5% ~ 4%의 낮은 세율이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점이 있는 만큼 단점도 있겠죠? 간이과세자로 분류되거나 매출액이 4천8백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세금 계산서를 발급할 수가 없습니다.
세금계산서가 발급되지 않다 보니 기업 간의 거래에서는 내가 돈을 냈다는 증거를 남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것이 가장 큰 단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과세자는 총 10%의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건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금계산서에 있는 모든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으며, 간이과세자와 달리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어 기업 간의 거래에도 문제가 없습니다.
연간 8천만원 이상의 매출이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안되는 업종을 하는 경우는 무조건 일반과세자로 등록해야 합니다.
부가세를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수식에 보면 "매입세액"을 늘리면 됩니다. 그래서 구매할 필요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사업자 명의로 설정해 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일 만만한 것은 사업자 명의의 차량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꼭 구매뿐만 아니라 렌트로 가능합니다. 또한 사업장에서 나가는 공과금이나 핸드폰 통신요금도 사업자 명의 등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약간의 부가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세금은 꼭 내야만 합니다. 사업을 하다보면 국가에서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요. 세금 사대보험 연체 사실 없어야 가능합니다. 혹시라도 돈이 부족하여 못 내실 경우에는 담당 세무사 에게 전화 하셔서 뒤로 미루실수도 있읍니다.
그렇지만 연체 만은 안됩니다. 나도 모르는 내 정보를 나이스. 올크레딧 어찌나 잘 아는지??
나는 일 하느라 바쁜데 우리나라에는 무슨 세금 종류가 그리도 많은지 하나로 다 묶어서 낼수 있으면 좋겠읍니다. 과연 그런 날이 올까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돈이 보이는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대상,방법 (0) | 2024.02.28 |
---|---|
지방주도형 투자 일자리센타 (0) | 2023.06.06 |
신중년성공취업프로그램 (0) | 2023.06.05 |
메타버스 (0) | 2023.06.05 |
소기업 .소 상공인을 위한 노란우산 .다양한 복지 서비스 및 가입방법 .혜택 (0) | 2023.06.02 |